성전을 청소하신 예수님은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처럼 모든 복음서에 기록된 유명한 말씀입니다.. 무성한 것들 속에 잎사귀만 있어 무화과나무를 저주하노라. 잎사귀, 성경을 들고 있는 행위에만 넘치는 믿음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의 생계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다음 사건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당시 성전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유월절에는 번제를 드려야 합니다., 제사에 제물을 바쳐야 하는데 먼 곳에서 오는 사람들이 가져오기가 어려워 제물을 사러 절로 왔다.. 어찌보면 당연하고 어찌보면 불가피한 일이었지만, 예수님은 상인들의 탁자와 의자를 엎으셨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아버지의 집은 기도하는 집인데 강도의 소굴로 만들었기 때문에 노하셨습니다.. 그는 피해자를 사고 파는 것은 강도의 소행이라고 말했다.. 요한복음에는 예수님께서 예배당을 가게로 만들지 말라고 하셨다고 합니다.. 하나님을 예배하는 집이 황폐해 졌다는 것입니다..
예수께서는 하느님께 기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주기도문입니다. 이 우리 아버지 안에서 인간은 하느님께 아무것도 바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곳은 하늘의 뜻이 이루어지는 땅입니다.. 순종하여 하늘의 뜻이 이루어지도록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주기도문은 기도란 하나님의 말씀이 내 삶을 지배하게 하는 것, 즉 말씀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합니다.. 사람은 땅의 흙으로 창조되었고, 땅이 하늘의 변화에 복종하고 순종하듯이 기도는 하나님의 의가 내 삶의 본질이 되도록 구하는 것입니다.. 기도는 주고 받기~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성경을 보존하고 육신의 행복을 구하는 일을 하나님께 맡깁니다.. 이것은 모든 종교인들의 기도이다..
오늘날 종교인들의 기도는 유월절을 지키러 온 사람들을 향한 예수님의 책망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성경을 보존하는 행위를 드려 육체의 축복을 구하는 것은 강도와 같습니다.. 강도는 자신의 것을 주지 않고 다른 사람의 재산을 빼앗으려는 자기 자신입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주지 않고, 원하지 않는 것을 주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취하는 것은 강도입니다.. 그리고 당신이 신과 거래를 하려고 한다면 그것은 사업입니다..
그래서 이 말씀이 무화과나무의 맹세와. 유대 무화과나무를 통해 하나님이 뜻하신 그리스도는 풍성한 율법적 행위만 생산하는 유대인들의 믿음을 저주하시고 성전에서 팔려가는 강도들을 지명하신 것과 같은 맥락에 서 계신다.. 그리고 성경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통해 육체적인 행복을 얻는 오늘날의 기도도 예수님의 책망의 대상입니다..
과일, 즉, 그리스도의 생명이 없는 추구도 열매가 아니라 형식입니다.. 그리스도의 생명이 없이 기도하며 육체의 일을 구하며. 이런 믿음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는 언제나 육신의 문제를 해결하시는 메시아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자신의 몸도 살리지 못한 그리스도이십니다.. 무능력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본성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생명이 없으면 육신의 일을 구합니다.. 그리스도에 대한 기대도 육체의 일입니다., 기도도 몸의 행실을 드려 몸의 행복을 구합니다. 그런 믿음을 가지고 가난한 자들이 항상 너희와 함께 하리라 하셨을 때 가룟 유다처럼 배신하는 것이 더 정직합니다..
그러나 당시의 바리새인들과 제사장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도.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죽이려고 했습니다., 오늘날의 기독교인들은 더 이상 세상의 법으로 낮아질 수 없는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의 세상에서 성공을 추구하면서 예수님을 조롱하며 예수님의 십자가로 구원받았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도둑 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