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을 활용한 채용 실적 및 직무 적합성 분석 및 시각화

소개

채용 시즌에는 수많은 지원자가 회사에 지원하여 합격하기 위해 경쟁합니다.

. 경쟁자와 자신의 장점을 어필하기 위해 자기소개서를 꼼꼼히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 채용 담당자로서 이력서 심사를 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 자신의 삶을 살아온 다른 지원자들의 경력을 보면 우열을 구분하는 것이 말이 되는 것인지 가끔 의구심이 듭니다.

. 단, 회사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회사 내부 규정에 따라 자신을 포지셔닝, 후보 목록을 작성하다.

우리는 많은 바위를 골라내고 결국 회사에 적합한 인재를 선택합니다.

채용의 기나긴 여정은 끝났다고 생각하는데 한 가지 고비가 더 있다.

후속 검사이다.

숨겨진 바위가 견습생 평가에 들어가는 순간 믿을 수 없는 광경이 펼쳐진다.

. 해당 후보자는 최고점수를 받았지만 성과평가에서 부진한 점수를 받아 정규직에서 제외됐다.

. 내가 잘못 선택했거나 이해하지 못한 것이 있습니까?

메인 테마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지원자가 견습평가에서 탈락하는 모습은 평가의 징표다.

충분히 공평하지만 채용 담당자의 관점에서는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 이러한 시행착오와 채용 담당자의 추가 작업을 줄이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용 프로세스 내 연결 분석원한다. 분석 전에 사용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 대상 기간 : 2018~2022년 4개년 채용 데이터
  • 주제 : 최종합격 후 수습기간 지원자
  • 분석 데이터 : 성별, 서류성적, 경력여부, 실기면접점수, 도제평가점수, 합격여부
  • 분석 도구 및 방법 : R 통계 분석을 통한 시각화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R을 활용한 채용 실적 및 직무 적합성 분석 및 시각화 1

성별, 경력상태가 편지라서 요약값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 결측치 유무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에 문제가 없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


R을 활용한 채용 실적 및 직무 적합성 분석 및 시각화 2

면접 결과와 정규직 채용 여부, 경력 유무에 따른 수습기간의 적정성을 그래프로 분석한 결과, 경력 유무와 관계없이 경력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견습생 등급 범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면접 평가 점수입니다.

90그 시점까지 헤르페스가 더 많거나 많음이 확인되었습니다.

. 서류 전형이나 면접 결과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 평가 경험 유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가정하고 실제 합격자 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


R을 활용한 채용 실적 및 직무 적합성 분석 및 시각화 3

경험이 있는 사람보다 경험이 없는 사람이 실패 횟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

채용 과정에서 서류 검증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어 서류의 점수와 수습기간 점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1) 수습기간 서류성적과 평가점수의 상관관계

  • 귀무 가설: 서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수습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 대립 가설: 서류 점수가 높은 사람이 수습평가 점수가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R을 활용한 채용 실적 및 직무 적합성 분석 및 시각화 4

0.05귀무가설보다 낮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여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즉, 서류 점수가 높다고 해서 직무적합성으로 이어지지는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

2) 수습기간 면접결과와 평가결과의 상관관계

둘째, 채용 과정에서의 면접 결과와 교육 기간 동안의 평가 결과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귀무 가설: 면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수습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 대립 가설: 면접 점수가 높더라도 수습평가 점수가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R을 활용한 채용 실적 및 직무 적합성 분석 및 시각화 5

0.05이보다 높으므로 귀무가설이 채택되었고 양의 상관관계가 나왔다.

, 즉, 면접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적합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서류평가 편향이 최종 합격자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졸업 증서

아르 자형필자는 통계분석을 수행한 최초의 저자로서 결과분석에 대한 경험이 미숙하여 분석결과가 절대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 사람의 실수가 채용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고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이러한 편향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

블라인드 채용, 수시채용 확대 등으로 청년 실업자는 계속 늘어나는 반면 채용의 문은 좁아지고 있다.

. 개인의 능력 수준이 높거나 낮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지만,,구직자와 구직자 모두가 인정하는 공정하고 공평한 채용 기준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